Surprise Me!

[여랑야랑]‘피해자’와 ‘피해 호소인’의 차이 / ‘조문 논란’ 정의당의 갈팡질팡

2020-07-15 55 Dailymotion

<p></p><br /><br />Q. 여랑야랑 시작합니다. 정치부 이동은 기자 나와있습니다. 첫 번째 주제 볼게요. '피해자와 피해 호소인'이네요? 둘이 비슷한 듯 다르죠? <br><br>맞습니다. 이해찬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오늘 박원순 전 서울시장을 성추행 혐의로 고소한 전직 비서에게 사과하면서도 '피해 호소인'이라고 지칭했습니다. <br> <br>[이해찬 / 더불어민주당 대표] <br>"피해 호소인의 뜻에 따라 서울시가 사건 경위를 철저하게 밝혀주시길 바랍니다." <br><br>서울시도 '피해 호소 직원'이라고 했고요. <br> <br>이낙연 민주당 의원은 오늘 '피해 고소인'라고 했습니다. <br> <br>민주당 여성의원들도 어제 2차 피해에 대한 우려를 얘기하면서 '피해 호소인'이라고 했습니다. <br> <br>Q. 피해자로 안 쓰고 피해 호소인이나 피해 고소인으로 쓰는 이유가 있겠지요? <br><br>민주당은 보통 성추행 피해자에 대해서는 어려운 상황임에도 고소고발, 폭로를 한 뜻을 우선 존중한다는 의미에서 피해자임이 확정되지 않아도 피해자라고 불러왔습니다. <br> <br>비서를 성추행한 혐의로 사퇴한 오거돈 전 부산시장 때, 또 안희정 전 충남지사 건을 민주당이 사과할 때도 '피해자'라고 표현했습니다. <br><br>다만 올해 초 총선을 앞두고 영입됐던 원종건 씨가 미투 논란에 휩싸였을 때 민주당은 상대방을 '피해 호소인'이라고 지칭한 적이 있습니다. <br> <br>Q. 민주당이 피해자가 아닌 피해 호소인을 쓰는 이유가 있나요? <br><br><br><br>민주당은 "특별한 이유가 있어서가 아니라 피해자와 피해 호소인, 대충 두 용어가 혼용돼서 쓰여지고 있다"고 설명했습니다.<br> <br>Q. 엄연히 피해자와 피해 호소인이라는 단어의 의미는 다른데요. <br>이번에는 피해 호소인으로 쓰는 건 또 정치적인 의미도 있어보여요. <br><br>그렇습니다. 민주당이 박 전 시장을 고소한 전직 비서를 피해 호소인이라고 부르는 것은 박 전 시장의 혐의가 명확하지 않다는 의미가 담겨 있습니다. <br><br><br><br>진중권 전 동양대 교수는 "공식적으로는 '피해자'로 인정할 수 없다는 것"이라고 했고요.<br> <br>통합당은 "피해자를 피해자라 부르지 못하는 홍길동 당"이라고 비판했습니다. <br><br><br> <br>Q. 민주당이 아무래도 박 전 시장에 대한 애정을 많이 보여온 만큼 더 논란이 되는 것 같습니다. 다음 주제 보겠습니다. '정의당의 갈팡질팡', 말 그대로 갈팡질팡하고 있죠? <br><br>네. 정의당 여성본부가 오늘 박원순 전 시장의 성추행 의혹과 관련해 국정조사를 하자고 주장했습니다. <br><br><br> <br>서울시 관계자 등이 이번 사건에 어떻게 개입했는지 철저하게 밝히자는 겁니다. <br> <br>Q. 어제는 심상정 정의당 대표가 조문을 거부한 당 소속 의원을 대신해 박원순 전 시장 유가족에게 사과하지 않았나요? 어제는 사과하고 오늘은 국정조사를 하자는 겁니까? <br><br>그렇습니다. 심 대표가 박 전 시장 조문을 거부한 장혜영, 류호정 의원에 대해 사과까지 하면서 탈당하겠다는 당원들의 반발을 잠재웠는데요. <br> <br>하지만 당내 젊은 세대들이 반기를 들면서 분위기가 또 바뀐겁니다. <br><br> 민주당과 함께 가길 원하는 당원들을 생각해야 하는 심 대표와, 고소인 편에 서서 진보적 행보를 뚜렷히 하려는 정의당 내 젊은이들 사이에 생각 차이가 큰 것 같습니다. <br> <br>Q. 당내 국정조사 요구를 심 대표가 어떻게 처리할지 주목되네요. 지금까지 여랑야랑이었습니다.

Buy Now on CodeCanyon